12년도 1회차

 

05. 각개에 개폐기 또는 콘센트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2가지

 

 

 

06. (1) 정션 박스(Joint box)의 용도:

06. (2) 풀 박스(Pull box)의 용도:

 

07. 방전코일, 직렬 리액터, OVR, UVR, OCR의 명칭과 용도

방전코일:

직렬 리액터:

과전압 계전기:

부족전압 계전기:

과전류 계전기:

 

14. 경부하시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12년도 2회차

 

04. 중성점 직접 접기 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 유도 장해 경감에 관한 대책

(1) 근본 대책:

(2) 전력선측 대책 5가지

 

 

 

 

 

 

(3) 통신선측 대책 5가지

 

 

 

 

 

 

05. 부싱형 변류기의 단선도용 그림기호는?

생략

 

06. (1) NCSNVS의 기능 설명

- NCS:

- NVS:

 

12. 케이블과 접속재에 사용하는 방재용 자재 2가지

 

 

14. (1) F40×2의 심벌은? 생략

 

 

123회차

 

02. ASS와 인터럽터 스위치를 비교 설명하여라

ASS:

 

인터럽터 스위치 (IS):

 

 

03. 전력용 진상 콘덴서의 정기점검 항목 3가지

- -

 

04. (2) 1선 지락 사고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의 변화

-

04. (3) GR, SGR의 우리말 명칠

- GR [ ] - SGR [ ]

 

07. 전력용 콘덴서에 설치하는 직렬 리액터의 용량산정에 대한 설명

 

 

 

10. 금속관 부품의 명칭과 특징

 

 

15. 특고압 유입변압기의 기계적인 보호장치 3가지

 

 

 

12년도 1회차

 

05. 각개에 개폐기 또는 콘센트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2가지

배선 중에 시설하는 현장조작개폐기가 전로의 각 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경우

전용분기회로에서 공급될 경우

 

06. (1) 정션 박스(Joint box)의 용도: 전선 상호간 접속 시 접속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06. (2) 풀 박스(Pull box)의 용도: 전선의 통과를 쉽게 하기 위하여 배관의 도중에 설치

 

07. 방전코일, 직렬 리액터, OVR, UVR, OCR의 명칭과 용도

방전코일: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 전하 방전

직렬 리액터: 5고조파 제거

과전압 계전기: 정정값 이상의 전압

부족전압 계전기: 정정값 이하의 전압

과전류 계전기: 정정값 이상의 전류

 

14. 경부하시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12년도 2회차

 

04. 중성점 직접 접기 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 유도 장해 경감에 관한 대책

(1) 근본 대책: 전자유도 전압의 억제

(2) 전력선측 대책 5가지

송전선로를 될 수 있는 대로 통신선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건설한다.

중성점을 접지할 경우 저항값을 가능한 큰 값으로 한다.

고속도 지락보호 계전 방식을 채용한다.

차폐선을 설치한다.

지중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

(3) 통신선측 대책 5가지

절연 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한다.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통신선에 우수한 피뢰기를 사용한다.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05. 부싱형 변류기의 단선도용 그림기호는?

생략

 

06. (1) NCSNVS의 기능 설명

- NCS: 중성점 전류 검출 방식

- NVS: 중성점간의 불평형 전압을 검출하는 방식

 

12. 케이블과 접속재에 사용하는 방재용 자재 2가지

난연테이프, 난연도료

 

14. (1) F40×2의 심벌은? 생략

 

 

123회차

 

02. ASS와 인터럽터 스위치를 비교 설명하여라

ASS: 무전압시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고장구분 개폐기로 돌입전류 억제기능을 갖고 있다.

인터럽터 스위치 (IS): 수동 조작만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고, 돌입전류 억제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며, 용량 300[kVA] 이항에서 ASS 대신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03. 전력용 진상 콘덴서의 정기점검 항목 3가지

유 누설유무 점검 - 단자의 이완 및 과열유무 점검 - 용기의 발청 유무점검

 

04. (2) 1선 지락 사고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의 변화

평상시의 건전상의 대지전위는 110 / [V] 이나 1선 지락 사고시에는 전위가 배로 증가하여 110[V]가 된다.

04. (3) GR, SGR의 우리말 명칠

- GR [지락 계전기] - SGR [선택 지락 계전기]

 

07. 전력용 콘덴서에 설치하는 직렬 리액터의 용량산정에 대한 설명

- 직렬 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4[%] 이상이면 되는데 주파수 변동 등의 여유를 봐서 실제로는 약 5~6[%]인 것이 사용된다.

 

10. 금속관 부품의 명칭과 특징

로크너트, 부싱, 커플링, 새들, 노멀밴드, 링리듀서, 스위치 박스, 정션박스

 

15. 특고압 유입변압기의 기계적인 보호장치 3가지

충격압력 계전기, 브흐홀쯔 계전기, 충격 가스압 계전기

131회차

 

01. ‘27’, ‘87’ 계전기 명칭과 용도

27 [ ]:

87 [ ]:

 

04. 자기여자현상의 발생 이유와 현상 설명

발생 이유:

현상 설명:

 

05. 옥외용 변전소 내의 변압기 사고 종류 6가지

- -

- -

- -

 

07. 부동 충전방식의 특징(역할)

 

09. 변류기 2차측의 전류계 교체 순서

 

 

14. 단락용량의 경감대책 6가지

- -

- -

- -

 

15. 개폐기의 종류 (그에 맞는 특징) 5가지

 

 

 

132회차

 

01. 아몰퍼스 변압기의 장점 3가지, 단점 3가지

장점 - -

단점 - -

 

03. 무정전 전원 공금 단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라.

생략.

 

05. 설비 불평형 부하의 제한에 따르기 어려울 경우

단자 1: - 단자 2: - 단자 3개 이상:

 

06. (1) 전력용 콘덴서 용량 ≦ □

이유:

06. (2) 고조파 제거를 위한 콘덴서는?

 

06. (3) 역률 개선의 효과 3가지

- -

 

07. 계통접지, 기기접지의 기능

계통접지:

기기접지:

 

12. 심벌의 명칭 (각 종 덕트)

 

 

13. (4) 0.6/1[kv] 가교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시스 케이블의 약호:

 

14. 주파수, 광속, 점등 시간의 관계

주파수: 감소 광속: , 점등시간:

 

17. (2) 부등률이 크다의 의미는?

-

17. (3) 수용률의 의미

 

 

 

133회차

 

04. VCB 사용시 서지흡수기의 설치

 

 

06. (1) 방전 코일의 용도

 

06. (2) 직렬 리액터의 용도 3가지

-

-

-

 

07. Wenner4전극법 설명

-

 

 

08. (1) UPS?

08. (2) CVCF?

08. (3) 정류기와 인버터의 기능

정류기 (컨버터):

인버터:

 

12. (1) 지중 전선로의 시설 방식 3가지:

12. (2) 방식 조치를 하지 않은 지중전선의 피복금속체 접지는?

12. (3) 특고압용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케이블 종류 2가지

-

 

13. (1) 접지 저항 저감법의 물리적 방법 4가지

-

-

13. (2) 접지 저항 저감법의 화학적 저감재 구비조건 4가지

-

-

 

18.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4가지 및 그 조건에 맞지 않은 경우 나타나는 현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