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1회차
01. ‘27’, ‘87’ 계전기 명칭과 용도
27 [부족전압 계전기]: 전압이 정정된 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경보 또는 회로차단
87 [전류차동 계전기]: 발전기 또는 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
04. 자기여자현상의 발생 이유와 현상 설명
발생 이유: 콘덴서 전류가 전동기의 무부하 전류보다 클 경우 발생
현상 설명: 전동기 단자전압이 일시적으로 정격전압을 초과하는 현상
05. 옥외용 변전소 내의 변압기 사고 종류 6가지
권선의 상간단락 및 층간단락 - 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괴에 인한 지락사고
고저압 권선의 혼촉 - 권선의 단선
Bushing Lead선의 절연파괴 - 지속적 과부하 등에 의한 과열사고
07. 부동 충전방식의 특징(역할)
09. 변류기 2차측의 전류계 교체 순서
변류기 2차 단자 k와 l 단락 -> 전류계 단자 a와 b를 분리하여 전류계 교체 -> 단락한 변류기 2차 단자 k와 l를 개방
14. 단락용량의 경감대책 6가지
고 임피던스 기기를 채택 -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
한류 리액터 설치 - 계통전압의 격상
직류 연계 - 고장 전류 제한기 사용
15. 개폐기의 종류 (그에 맞는 특징)
단로기, 부하개폐기, 접자접촉기, 차단기, 전력퓨즈
13년 2회차
01. 아몰퍼스 변압기의 장점 3가지, 단점 3가지
장점 – 철손과 여자전류가 매우 적다. - 전기저항이 높다. - 결정 자기이방성이 없다.
단점 – 포화 자속밀도가 낮다. - 점적률이 나쁘다. - 압축응력이 가해지면 특성이 저하된다.
03. 무정전 전원 공금 단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라.
생략.
05. 설비 불평형 부하의 제한에 따르기 어려울 경우
단자 1개: 2차 역V접속 - 단자 2개: 스코트 접속 - 단자 3개 이상: 선로전류가 평형
06. (1) 전력용 콘덴서 용량 ≦ 부하의 지상 무효전력
이유: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서
06. (2) 고조파 제거를 위한 콘덴서는?
직렬 리액터
06. (3) 역률 개선의 효과 3가지
전력 손실 경감 - 전압강하의 감소 - 설비용량의 여유 증가
07. 계통접지, 기기접지의 기능
계통접지: 고저압 혼촉 시 저압측 전위상승 억제
기기접지: 감전예방 및 화재예방
12. 심벌의 명칭 (각 종 덕트)
금속 덕트, 라이팅 덕트, 플로어 덕트
13. (4) 0.6/1[kv] 가교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시스 케이블의 약호: CV1
14. 주파수, 광속, 점등 시간의 관계
주파수: 감소 → 광속: 증가, 점등시간: 늦음
17. (2) 부등률이 크다의 의미는?
-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 시간대가 서로 다르다.
17. (3) 수용률의 의미
수용설비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13년 3회차
04. VCB 사용시 서지흡수기의 설치
전동기: 적용, 유입식 변압기: 불필요, 몰드식 변압기: 적용, 건식 변압기: 적용, 콘덴서: 불필요
06. (1) 방전 코일의 용도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
06. (2) 직렬 리액터의 용도 3가지
- 제5고조파를 제거하여 파형을 개선
-
-
07. Wenner의 4전극법 설명
4개의 전극 (C1, P1, P2, C2)을 등간격 일직선으로 매설하고 C1, C2 전극을 통해 저주파 전류를 흘려 보낸 후 P1, P2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대지 저항률을 구하는 방법이다.
08. (1) UPS란?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08. (2) CVCF란? 정전압 정주파수 장치
08. (3) 정류기와 인버터의 기능
정류기 (컨버터): AC → DC
인버터: DC → AC
12. (1) 지중 전선로의 시설 방식 3가지: 직접 매설식, 관로식, 암거식
12. (2) 방식 조치를 하지 않은 지중전선의 피복금속체 접지는? 제3종 접지공사
12. (3) 특고압용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케이블 종류 2가지
- 알루미늄피케이블,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시스 케이블 (CV)
13. (1) 접지 저항 저감법의 물리적 방법 4가지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한다. - 접지봉의 매설 깊이를 깊게 한다.
접지극의 병렬 접속 - 접지극과 대지와의 접촉저항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심타공법으로 한다.
13. (2) 접지 저항 저감법의 화학적 저감재 구비조건 4가지
공해가 없을 것 - 접지극을 부식시키지 않을 것
저감 효과가 좋을 것 - 저감 효과가 영속성이 있을 것
18.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4가지 및 그 조건에 맞지 않은 경우 나타나는 현상
정격전압(전압비)가 같을 것 →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가열
극성이 같을 것 →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소손
%임피던스가 같을 것 → 부하의 분담이 용량의 비가 되지 않아 부하의 분담이 균형을 이룰 수 없다.
내부저항과 누설 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 각 변압기의 전류 간에 위상차가 생겨 동손이 증가